분류 전체보기(203)
-
20210402 큐티나눔
십자가에 달리신 사랑의 왕(눅23:26-43) 예수님은 십자가형을 당하러 가시면서 예루살렘 사람들을 염려하시고, 십자가 위에서 그분을 조롱하는 자들을 위해 기도하십니다. 그리고 옆에 달린 행악자 한 사람을 낙원으로 영접하십니다. 도움말 26절) ‘구레네 사람 시몬’은 사도 바울이 문안인사를 전하는 로마교회 ‘루포’의 아버지다(막 15:21; 롬 16:13). 예수님의 십자가를 대신 진 사건을 계기로 시몬과 그의 가족은 예수님의 제자가 된 것으로 보인다. 하나님은 어떤 분입니까? 27-31절 예루살렘에 닥칠 엄혹한 시련을 내다보며 비통해하셨습니다. 예수님은 로마가 ‘푸른 나무’처럼 생명을 나눠주고 평화를 심으러 온 자신을 십자가에 못 박아 죽였다면, ‘마른 나무’처럼 폭력과 전쟁으로 그들에게 저항하는 예루..
2021.04.02 -
20210401 큐티나눔
사형을 언도받으신 예수님(눅23:12-25) 빌라도는 예수님께 죄가 없다는 것을 알았지만, 성난 군중의 거센 반발에 굴복해 바라바를 석방하고 예수님을 십자가에 못 박도록 판결합니다. 도움말 17절) 어떤 고대 사본에는 ‘명절을 당하면 반드시 한 사람을 놓아주더라’라는 구절이 있다. 18절) 마태와 마가는 ‘예수님을 십자가에 못 박고 바라바를 석방하라’고 주장하는 무리 배후에 대제사장들과 장로들의 선동이 있었다고 기록한다(마 27:20; 막 15:11). ‘바라바’는 아람어로 ‘아버지의 아들’이라는 뜻이다. 하나님은 어떤 분입니까? 내게 주시는 교훈은 무엇입니까? 전체 세속 법정이 유대인들의 종교 법정보다 공정했습니다. 빌라도가 주재하는 로마 법정은 예수님을 살리려고 했지만, 유대인들은 끝까지 예수님을 죽..
2021.04.01 -
20210331 큐티나눔
정치판 속의 예수님(눅23:1-12) 유대의 종교지도자들은 거짓말로 예수님을 고소하고, 빌라도와 헤롯은 예수님의 무죄를 알면서도 무리의 눈치만 봅니다. 이 와중에 예수님은 아무런 변명도 하지 않으십니다. 도움말 1절) 사형 집행권이 없는 ‘공회’의 지도자들은 빌라도가 사형을 언도하길 바라며 예수님을 그에게 데려갔다. 빌라도는 유대를 관할하던 총독이었다. 그는 평상시에 가이사랴에 주재했지만, 유월절 기간에는 치안 유지를 목적으로 예루살렘에 머물렀다. 8절) 세례자 요한을 죽인 헤롯은 예수님이 다시 살아난 요한이라는 소문을 듣고 당황하면서도 예수님을 보고 싶어했다(9:7-9). 하나님은 어떤 분입니까? 3,8,9절 빌라도와 헤롯에게 심문받으면서도 일절 자기변호를 하지 않으셨습니다. 종교지도자들의 고발 내용을..
2021.03.31 -
20210330 큐티나눔
비겁한 제자를 위해 당당한 스승(눅22:54-71) 베드로는 겁에 질려 예수님과의 관계를 부인하지만, 예수님은 조롱당하면서도 당당하게 그분의 정체와 하나님과의 관계를 밝히십니다. 도움말 66절) ‘공회’(헬, 쉬네드리온)는 장로들과 서기관들과 대제사장들로 구성된 유대의 최고 의사 결정 기구였다. 로마의 인정을 받으며 상당한 권한을 행사했지만, 사형 집행권은 없었다. 69절) 예수님은 시편 110:1을 인용해 대답하셨다. 이는 예수님의 재림이 아니라 죽음 이후의 부활, 승천, 성전 파괴로 예수님의 신적 권위가 나타날 것을 가리킨다. 하나님은 어떤 분입니까? 61절 죄수처럼 끌려가 수치를 겪으면서도 사탄에게 빼앗기지 않으려고 기도하신 베드로를 잊지 않으셨습니다. “너는 돌이킨 후에 네 형제를 굳게 하라”(2..
2021.03.30 -
20210327 큐티나눔
유월절 만찬과 새 언약의 만찬(눅22:14-23) 예수님은 유월절 식사와 새 언약을 체결하는 식사를 통해 그분의 죽음에 담긴 참 의미를 가르치십니다. 그리고 한 제자의 배신을 예고하십니다. 도움말 17,20절) 누가는 유월절 식사 전(17절)과 후에(20절) 포도주 잔을 두 번 주신 것으로 기록한다. 누가는 ‘유월절 식사’(15-18절)와 ‘하나님과 백성 사이의 새로운 언약 체결을 기념하는 식사’(19,20절)로 구분했을 것이다. 하나님은 어떤 분입니까? 14-18절 십자가에서 돌아가시기 전날, 간절히 바라시던 대로 제자들과 유월절 만찬을 나누셨습니다. 물론 예수님은 부활하실 것이고, 유월절의 의미가 하나님 나라에서 완전히 이뤄지는 날이 이르면 구원받은 무리와 함께 기쁨의 식사를 나누실 것입니다. 그렇더..
2021.03.27 -
20210326 큐티나눔
유월절을 맞이하는 다양한 자세(눅22:1-13) 대제사장들과 서기관들이 예수님을 죽이려고 음모를 꾸밀 때, 유다가 스스로 찾아가 그들의 앞잡이가 되어줍니다. 한편 예수님은 묵묵히 그분이 가셔야 할 길을 가십니다. 히나님은 어떤 분입니까? 7-13절 제자들을 보내어 유월절 식사를 준비하게 하셨습니다. 유월절 어린 양으로 돌아가시기 전에, 제자들과 유월절 식사를 나누며 자기 죽음에 담긴 의미를 가르치려 하셨습니다. 이렇게 주님은 악한 자들이 자기를 죽이려고 일사불란하게 움직이는 상황에서도 아무런 동요 없이 자기에게 주어진 길을 가셨습니다. 주님을 움직이게 한 것은 돈도, 권력도, 인기도 아니었습니다. 그분은 오직 하나님의 뜻에 순종하는 것, 그리고 제자들을 돌보는 것만 생각하셨습니다. 순종과 사랑, 이 단순..
2021.03.26 -
20210325 큐티나눔
항상 기도하며 깨어 있으라(눅21:29-38) 예수님은 무화과나무의 비유를 통해 성전이 무너지고 하나님 나라가 임할 날이 임박했음을 알려주신 후, 마지막 날을 준비하는 제자의 태도를 교훈하십니다. 도움말 29,30절) 무화과나무는 늦봄에 잎사귀를 내기 때문에, 무화과나무의 싹은 여름이 다가왔다는 것을 알려주는 신호다. 32절) ‘세대’(헬, 게네아)는 종족이나 가계는 물론이고 특정 시대의 사람을 가리키는 말이다. 36절) ‘인자 앞에 선다’는 말은 ‘인자가 세상을 심판할 때 해를 입지 않고 안전할 것이다’라는 뜻이다. 하나님은 어떤 분입니까? 37,38절 무너질 성전으로 가셔서 자신을 죽일 사람들을 가르치셨습니다. 심판 날이 이르기 전에 한 사람이라도 구원하려는 예수님의 애타는 사랑이었습니다. 삶이 다하..
2021.03.25 -
20210325 큐티나눔
멸망의 날, 속량의 날(눅21:20-28) 예수님은 예루살렘이 멸망하고 성전이 무너지는 날을 예고하십니다. 그날은 예수님이 영광의 왕으로서 반역자를 심판하시고 신실한 자기 백성을 구원하시는 날입니다. 도움말 24절) ‘이방인의 때가 차기까지’는 ‘이방인에게 짓밟히는 기간이 끝날 때까지’라는 의미다. 25,26절) 예수님이 묘사하신 현상은 우주적 종말을 의미하는 표현이 아니라 이방 나라와 제국의 멸망을 말할 때 사용하는 묵시적 언어다(사 13:19; 34:4). 27절) ‘인자가 구름을 타고 능력과 큰 영광으로 오는 것’이라는 표현은 1차적으로는 성전 멸망과 관계된다. 이 말씀의 배경이 되는 다니엘서는 인자가 땅으로 오는 게 아니라 하나님께로 가서 권세와 영광을 받고, 그 결과 인자의 왕권을 온 세상이 알..
2021.03.24 -
20210323 큐티나눔
성전 파괴의 징조와 제자의 삶(눅21:5-19) 예수님은 성전 파괴를 예고하신 후, 제자들에게 그 징조를 알려주시고 그 기간을 어떻게 보내야 하는지 가르쳐주십니다. 제자들에게 가르쳐주신 삶의 자세는 오늘 우리에게도 유효합니다. 도움말 6절) 예수님의 예고대로 예루살렘 성전은 주후 70년에 파괴되었다. 이 일은 종말에 있을 최후의 심판을 예표한다. 하나님은 어떤 분입니까? 5,6절 사람들이 성전의 위용과 아름다움에 감탄할 때, 예수님은 성전이 철저히 파괴될 것을 예고하셨습니다. 성전의 화려한 겉모습이나 거창한 의식 너머, 하나님이 떠나신 성전을 숙주 삼아 기생하는 사람들의 교만과 위선을 꿰뚫어 보셨기 때문입니다. 주님은 겉이 아닌 속을 보십니다. 교회의 외형이 작고 초라해도 그 속에 믿음과 소망과 사랑이 ..
2021.03.23 -
20210319 큐티나눔
나귀 새끼를 타신 왕(눅19:28-48) 예수님은 나귀 새끼를 타고 예루살렘에 입성하심으로, 그분이 평화의 왕임을 드러내십니다. 이후 하나님의 성전을 청결하게 하시고 다시 기도하는 집이 되게 하십니다. 도움말 36절) 길에 옷을 까는 것은 통치자에게 경의를 표하는 행위였다(왕하 9:13). 43,44a절) 이 구절은 주후 70년에 티투스(Titus) 장군이 이끄는 로마 군대가 예루살렘을 함락하고 성전을 파괴한 일을 가리킨다. 44b절) ‘네가 보살핌 받는 날’을 직역하면 ‘네가 방문 받은 때’로, 예수님의 초림을 가리킨다. 46절) 예수님은 이사야 56:7과 예레미야 7:11을 인용하여 책망하셨다. 하나님은 어떤 분입니까? 28-38절 나귀 새끼를 타고 예루살렘으로 들어가셨습니다. 이는 ‘온 세상에 평화..
2021.03.19 -
20210318 큐티나눔
왕의 귀환을 기다리며(눅19:11-27) 예수님은 당장 하나님 나라가 나타날 것으로 기대하는 자들을 향해 그날이 아직 이르지 않았다는 것과 어떤 태도로 그날을 기다려야 하는지를 비유로 가르치십니다. 도움말 12절) 주전 4년, 헤롯 대제의 아들 아켈라오는 아버지의 계승자로 승인받기 위해 로마로 갔는데, 그를 미워한 유대인들은 로마로 사절단을 보내어 아켈라오가 왕이 되는 일을 저지하려 했다. 그 결과 아우구스투스 황제는 아켈라오의 권한을 심하게 제한했다. 예수님의 비유는 이 사건을 배경으로 한다. 13절) ‘한 므나’는 1/60달란트, 약 100드라크마다. 당시 노동자의 100일 급료에 해당한다. 16,18절) “당신의 한 므나로 열/다섯 므나를 남겼나이다/만들었나이다”로 번역된 구문을 직역하면 “당신의 ..
2021.03.18 -
20210317 큐티나눔
잃었다 되찾은 삭개오(눅19:1-10) 예수님은 ‘부자이지만 고독한 외톨이’ 신세인 삭개오를 환대하십니다. 예수님을 만난 삭개오는 욕심을 버리고 이웃을 보듬는 참 하나님 나라의 백성으로 거듭납니다. 하나님은 어떤 분입니까? 1-7절 사람들 곁에 있을 자리가 없어 나무 위에 올라간 삭개오를 보시고, 그의 이름을 불러주셨습니다. 사람들은 그를 죄인이라 비난하면서 그에게 조금의 자리도 내어주지 않았지만, 주님은 그분 곁에 삭개오를 위한 자리를 마련해주셨습니다. 곁을 내주신 주님 덕에 삭개오의 내면에는 환한 빛이 비추었습니다. 예수님이 보여주신 구원의 방식은 정죄와 배척이 아니라, 사랑과 환대였습니다. 예수님의 마음으로 내 곁을 내어줄 이웃은 누구입니까? 10절 사람들은 중풍병자, 나환자, 시각 장애인, 세리 ..
2021.03.17